반응형
|
|
Q. 파업150일째인데 이렇게 길어진 원인이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저도 25년 동안 시민사회 노동운동현장에서 중재조정을 해봤지만 이렇게 오래가는 사례도 흔치않다. 공정방송이라는, 특히 지상파 방송사업자로서 자세가 문제다. 어느 조직이던 어느 기업이던 노사 간에 충돌은 일어날 수 있다. 분쟁이 일어나더라도 노사 간에 빨리 대화 협상을 통해 타협을 해서 그 결과물을 가지고 그 기업이나 조직이 발전하는 방향으로 그런 계기로 가야는데, 이건 초지일관 감정으로.. 이러면 쉽게 해결되지 않죠. 근본적으로 김재철 사장 노사 간에 인식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Q. 사측에선 불법파업이라 선전 주장하는데...
사 측에서 일방적으로 규정짓는 불법 파업이라는 것은, 그것은 노사분규에는 교과서적인 내용이 없습니다 사실상. 그렇기 때문에 특히 공정방송 지상파 언론노동자로서는 이 공정방송의 가치야 말로 가장 큰 가치를 노동자들이 또 노조가 추구하는 가치죠. 사측에서 일방적으로 불법으로 규정짓고 노사관계의 문제로 가져가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라 생각합니다.
Q. 과거 노동운동사에도 파업을 불법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불 법파업이라는 것은 사용자 기업의 편의적인 판단이다. 노사 간에 룰에서는 평화가 중요하다. 평화적인 교섭 나눠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식인데, 한쪽의 요구를 불법으로 규정짓는 것은 평화자체를 깨버리는 이야기죠. 노사관계의 기본을 모르는 사람의 이야깁니다. 안타까운 일이죠.
Q. 사장선임을 사실상 여당에서 하는 건데, 이한구 대표가 특히 사내문제다 끼어들지 않겠다는데..
저 는 이한구 원내대표의 그런 편협한 인식 자체가 큰 문제라 보고 있습니다. 국회라는 곳은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불신과 반목을 좁혀주는 곳이고 줄이는 것이 국회의 일인데. MBC 문제도 하나의 큰 문제입니다. 그 분쟁의 현장을 그 사업장의 노사문제로 치부해 버린다면 국회가 제대로 일을 못하는거죠. 과거의 현대 등 큰 사업장의 문제만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 겁니까? 저는 그건 대단히 잘못된. 우리 국민이 살아가는 분쟁현장에서 해결이 되지 않는 다면 적극 개입 해결하는 것이 국회가 해야 할 일이다. 원내대표로서 기존 인식을 바꿔 MBC문제가 공정방송을 위한 큰 고통이라 여기고 우리 당에서 적극적인 중재조정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저도 25년 동안 시민사회 노동운동현장에서 중재조정을 해봤지만 이렇게 오래가는 사례도 흔치않다. 공정방송이라는, 특히 지상파 방송사업자로서 자세가 문제다. 어느 조직이던 어느 기업이던 노사 간에 충돌은 일어날 수 있다. 분쟁이 일어나더라도 노사 간에 빨리 대화 협상을 통해 타협을 해서 그 결과물을 가지고 그 기업이나 조직이 발전하는 방향으로 그런 계기로 가야는데, 이건 초지일관 감정으로.. 이러면 쉽게 해결되지 않죠. 근본적으로 김재철 사장 노사 간에 인식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Q. 사측에선 불법파업이라 선전 주장하는데...
사 측에서 일방적으로 규정짓는 불법 파업이라는 것은, 그것은 노사분규에는 교과서적인 내용이 없습니다 사실상. 그렇기 때문에 특히 공정방송 지상파 언론노동자로서는 이 공정방송의 가치야 말로 가장 큰 가치를 노동자들이 또 노조가 추구하는 가치죠. 사측에서 일방적으로 불법으로 규정짓고 노사관계의 문제로 가져가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라 생각합니다.
Q. 과거 노동운동사에도 파업을 불법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았는데
불 법파업이라는 것은 사용자 기업의 편의적인 판단이다. 노사 간에 룰에서는 평화가 중요하다. 평화적인 교섭 나눠가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식인데, 한쪽의 요구를 불법으로 규정짓는 것은 평화자체를 깨버리는 이야기죠. 노사관계의 기본을 모르는 사람의 이야깁니다. 안타까운 일이죠.
Q. 사장선임을 사실상 여당에서 하는 건데, 이한구 대표가 특히 사내문제다 끼어들지 않겠다는데..
저 는 이한구 원내대표의 그런 편협한 인식 자체가 큰 문제라 보고 있습니다. 국회라는 곳은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불신과 반목을 좁혀주는 곳이고 줄이는 것이 국회의 일인데. MBC 문제도 하나의 큰 문제입니다. 그 분쟁의 현장을 그 사업장의 노사문제로 치부해 버린다면 국회가 제대로 일을 못하는거죠. 과거의 현대 등 큰 사업장의 문제만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 겁니까? 저는 그건 대단히 잘못된. 우리 국민이 살아가는 분쟁현장에서 해결이 되지 않는 다면 적극 개입 해결하는 것이 국회가 해야 할 일이다. 원내대표로서 기존 인식을 바꿔 MBC문제가 공정방송을 위한 큰 고통이라 여기고 우리 당에서 적극적인 중재조정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
반응형
'[방송,언론 소식] > M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내라MBC]릴레이인터뷰15- 강금실 전 법무장관 (0) | 2012.06.28 |
---|---|
MBC 쫌,보자 무한도전 X2 (0) | 2012.06.28 |
MBC [총파업특보102호] 김재철, 조합 대화 요구에 악의적 신문광고 (0) | 2012.06.28 |
댓글을 달아 주세요